-
<2025.3.15.(토) 쫑알> '우크라 휴전' 시간 끄는 푸틴한경-은경 2025. 3. 15. 09:00반응형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반응형왜 종전이 아닌 휴전인지 이해가 안 된다.
휴전이면 장기 휴전 방안으로 가지 않고 왜 단기 휴전으로 가는 건지도 모르겠다.
계속 포탄이 오가는 것보다 단기라도 휴전을 하는 게 낫지만 왜 이렇게 진행하려고 하는지 잘 모르겠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보다는 상황이 낫겠지만 러시아도 자국 내에서 해결해야 할 여러 문제점들이 많을 것이다.
그래도 급한 쪽이 우크라이나 아닌가.
푸틴 대통령도 휴전 자체에는 긍정적이며 러시아도 이를 지지한다고 했다.
하지만 논의해야 할 사안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했다.
근데 이 논의해야 할 사안에 휴전 기간 우크라이나 병력 동원과 무기 수입 제한, 우크라이나에 서방 무기 공급 중단 등이 포함되어 있어 우크라이나가 받아들이기 힘든 내용들이더라.
그리고 단기 조치가 아니라 장기적 평화 구축과 연계돼야 한다고 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휴전안을 받아들이기 싫어 교묘한 지연 전략을 쓰고 있다고 반발했지만 러시아 입장에는 휴전 기간이 우크라이나가 재정비하는 시간을 주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젤렌스키 대통령은 휴전 후 협상 과정에서 쿠르스크의 점령 지역을 자국 내 러시아 점령지와 교환하려고 할 것이다.
현재로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가 점령한 러시아 영토의 70%가량을 되찾았다고 하고 적극적인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군복을 입고 현장을 방문한 푸틴 대통령도 가능한 한 빨리 쿠르스크를 완전 해방하라고 했다.
러시아 영토를 빨리 되찾고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영토로 어떠한 협상을 하지 못하게 하겠다는 뜻 아닌가.
젤렌스키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갈등으로 중요한 순간 러시아에게 유리한 상황으로 흘러가기도 했는데 이게 우연의 일치인지 아님 모종의 거래가 있었는지 모르겠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어찌 됐든 빨리 휴전을 원할 것이고, 러시아는 일단 영토 복원 후 휴전을 하겠다고 할 것이고, 미국은 러시아에 유리하게끔 휴전을 이끌어가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한경-은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3.18.(화) 쫑알> 트럼프 관세 '부메랑' … 잘나가던 달러 내리막 (23) 2025.03.18 <2025.3.17.(월) 쫑알> 독일 국방비 한도 풀어 재무장 시도 … 790조원 인프라 투자도 (23) 2025.03.17 <2025.3.14.(금) 쫑알> "4월2일가지만 유연성 발휘" … 그 전에 무역장벽 낮추란 트럼프 (27) 2025.03.14 <2025.3.13.(목) 쫑알> 美 2월 CPI 2.8↑ 금리인하 앞당겨지나 (18) 2025.03.13 <2025.3.12.(수) 쫑알> 종전회담 당일도 불붙은 전선 … 美, 우크라에 "러 점령지 포기하라" (28) 20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