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4.14.(월) 쫑알> 이란, 美에 "경제 제재 완화해달라" … 8년 만에 핵 협상 재개한경-은경 2025. 4. 14. 06:51반응형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반응형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를 발표하면서 일단 놀란 가슴을 쓸어내릴 수 있었다.
관세 유예가 트럼프 대통령의 항복으로 해석하던데...
주가 하락에 대해 신경 쓰지 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이었지만 국채 하락은 신경 쓰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결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약점이 드러난 셈이 됐는데 앞으로 또 어떻게 혼란을 펼쳐 나갈까 싶다!
관세 기사가 살짝 잠잠해지니 국제 파트에 큰 기사가 없는 듯하다^^;;
그래서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 재개에 관한 기사를 캡처하고 요약·정리하려고 한다.
트럼프 1기인 2018년에 미국이 일방적으로 핵합의를 파기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자 2019년부터 핵 프로그램을 재가동했고, 2021년부터 우라늄 농축도를 준무기급인 60%까지 높였다고 한다.
2015년이란 핵합의 때는 3.67% 이하였다고 하니 어마어마하게 높인 셈인데, 이번에 미국과 이란이 약 8년 만에 고위급 핵협상을 재개했다고 한다.
이란이 우라늄 농축을 2015년 수준으로 낮추는 대신에 미국의 제재 완화를 요구했고, 12일 2시간 동안 핵협상을 벌였다고 한다.
이는 오바마 행정부 시절 이후 8년 만의 양국 간 고위급 공식 접촉이라고 한다.
더군다나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핵합의를 파기했었는데 다시 접촉이 있다고 하니 놀란만 한 일이기도 하다.
19일에 다시 추가 회담이 있을 것이라고 하고, 핵합의의 기본틀과 협상 일정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란 해외에 동결된 수십억 달러 규모 자금에 대한 접근법과 이란산 원유를 수입하는 중국 정유사에 대한 미국의 제재 완화 등을 요구할 것으로 본다는 데 미국과 협상이 될까 싶다.
미국은 이란 핵 프로그램 해체를 원하는데 이란은 완전한 폐기 수준은 수용할 수 없다고 하니 19일 회담에서 어떻게 논의가 될지 궁금하다.
이란의 경제가 어려운 건 모두가 알고 있다.
<리라화 가치&물가상승률> 2015년 핵합의 때보다 95% 이상 폭락한 리라화 가치는 계속해서 제자리걸음이다.
연간 물가상승률이 30%를 넘으며 그때와 비교하면 앞자리 숫자가 바뀐 상태에서 유지되고 있고, 한때는 50%도 넘어서기도 하면서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아 보인다.
또 경제가 어려우니 이란이 지원한다던 무장단체에도 예전처럼 지원이 어렵고, 또 최근에도 중동에서 이런저런 일들이 많았는데 무장단체가 힘을 쓰지 못하고 있는 모습도 보였다.
그리고 미국이 지난달에 이란이 협상 제안에 응하지 않거나 협상이 결렬되면 이란 핵시설에 대한 공격이 불가피해질 것이라고 했다.
근데... 미국 상황도 그리 녹록지 않아 공격이 쉽지 않아 보이는데...
어찌 됐든 미국과의 갈등이 전쟁으로 치달으면 심각한 경제난 속에서 국민들의 불만이 폭발해 정권 붕괴 위기에 직면할 수도 있는 이란 고위 인사들의 직언으로 이란 최고 지도자 하메네이가 입장을 바꿨다고 하더라.
핵 프로그램 해체를 원하는 쪽과 완전 해체는 할 수 없다는 두 국가의 입장이 다른 상황에서 19일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하다.
반응형'한경-은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4.16.(수) 쫑알> 트럼프 "反유대주의 근절" vs 하버드 "대학 독립성 침해" (16) 2025.04.16 <2025.4.15.(화) 쫑알> 시장 혼란에 中 버티기까지 … 꼬이는 트럼프 관세전쟁 (17) 2025.04.15 <2025.4.12.(토) 쫑알> 또 트럼프의 변심 "US스틸, 일본에 안 판다" (19) 2025.04.12 <2025.4.11.(금) 쫑알> 美 3월 물가 상승률 추청치 밑돌아 (19) 2025.04.11 <2025.4.10.(목) 쫑알> 맞불 관세에 위안화 절하 '강대강 대치' … 中 "美와 끝까지 싸운다" (29)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