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2023.8.17.(목) 쫑알> "Fed 관심, 추가 긴축보다 高금리 지속기간"한경-은경 2023. 8. 17. 07:00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Fed가 관심이 바뀌었다고 한다. 기준금리를 얼마나 더 올릴 것인가가 아니라 얼마나 오랫동안 이 수준으로 유지할 것인가로! 작년 3월부터 베이비스텝이니 빅스텝이니 하면서 연 0~0.25%이던 기준금리가 어느덧 연 5.25~5.5%까지 올라왔다. 그리고 최근 물가 상승세가 안정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면서 Fed가 당분간은 현 기준금리를 유지하지 않겠냐는 얘기들이 나왔다. 하지만 계속해서 물가를 자극할만한 요인들이 곳곳에 놓여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물가 상승세가 안정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Fed의 목표치인 2%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연 5.25%라는 기준금리가 미국에도 부담스럽기는 하겠지만 금리 인하가 잘못된 시그널을 줄 수도 있다고 본다. 그래서 피벗..
-
<2023.8.16.(수) 쫑알> 루블화 폭락에 … 러, 금리 3.5%P '긴급 인상'한경-은경 2023. 8. 16. 07:10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작년 2월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고서 루블화 가치가 폭락했었다. 한때 루블화·달러 환율이 134 루블 이상으로 뛰어오르기도 했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러시아가 환율 방어에 나서고 에너지 가격이 치솟으면서 수출 실적도 괜찮아졌고, 루블화 가치는 다시 오르기 시작하여 작년 6월에는 달러당 50 루블대까지 회복했었다고 한다. 뾰족하게 치솟은 때가 침공 후인 작년 3월 초의 루블화 가치이고, 쑥 꺼진 때가 작년 6월 말의 루블화 가치이다. 최근 들어 루블화 가치는 다시 하락하고 있다. 루블화·달러 환율의 심리적 저항선이 100 루블 선이라고 하는데, 14일에 루블화 환율이 장중에 102 루블을 넘어섰다고 한다. 루블화 가치가 17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추락하여 15일 러시아 ..
-
<2023.8.15.(화) 쫑알> 美 장·단기 국채금리, 13개월째 역전 '이상현상'한경-은경 2023. 8. 15. 07:45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한때는 미국 경제에 대해 무착륙(노랜딩)을 외치는 이들도 있었으나 지금은 노랜딩을 얘기하는 이는 없는 것 같다. 경착륙(하드랜딩) 얘기도 나왔지만 지금은 경착륙을 점치는 이도 없는 것 같다. 생각보다 탄탄하다며 미국 경기의 연착륙(소프트랜딩)을 외치는 이들이 많은 것 같다. 그런데 찜찜한 부분이 장·단기 금리 역전이다. 미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이 적다는 전망이 주류가 되기는 했지만 장·단기 금리 역적은 그대로이다. 월가에서는 장·단기 금리 역전이 2개월 이상 유지되면 향후 1년 반 이내 경기 침체가 올 것으로 본다는데 역전된 게 언제인가 싶다. 작년부터 다이어리에 10년 만기와 2년 만기 국채 금리를 기록해 뒀었는데 처음으로 역전된 날을 표시해 뒀었다. 2022.4.2.(우리..
-
<2023.8.14.(월) 쫑알> 벼랑 끝 中 '제2의 헝다' … 채권 거래 중단한경-은경 2023. 8. 14. 08:31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지난 금요일에도 컨트리가든의 이자 지급 실패로 인한 기사가 있었다. 중국의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인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은 지난 7일에 만기가 도래한 달러 채권 두건의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다고 한다. 30일의 유예 기간 안에 이자를 내지 못하면 공식적으로 디폴트가 선언된다고 한다. 또한 14일부터 역내 채권 가운데 최소 10종의 거래를 중단하기로 했고, 사모채권도 거래가 중단될 것이라고 한다. 잘은 모르겠으나 그렇다고 한다. 컨트리가든이 디폴트 위기에 놓이면서 중국 부동산 시장뿐만 아니라 중국 경제에도 악영향을 줄 것 같다. 중국 대형 부동산 개벌업체 완다그룹도 이와 비슷한 일이 있었다. 그러면서 헝다에 이어 완다라는 말도 나왔었는데, 완다그룹은 핵심 계열사가 이자를 갚지 못..
-
<2023.8.11.(금) 쫑알> 전망치 밑돈 美 물가 … "디스인플레 본격화"한경-은경 2023. 8. 11. 10:04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미국의 7월 CPI 결과가 어떻게 나올까 궁금했는데 드디어 발표됐다. 잘 나가던 미국 주식이 최근 들어 하락하면서 CPI 결과에 주목하는 이들이 많기도 했다. 7월 CPI 상승률이 반등할 것이라 예상하는 이들이 많았는데, 다만 예상치를 넘어서게 된다면... 또 곤란해지니까 어느 정도 반등할지에 관심을 가졌던 것 같다. 7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2%로 6월 CPI와 비교하면 0.2% 상승했다. CPI는 작년 6월에 9.1%를 찍고 계속 하락하다가 13개월 만에 전월보다 상승률이 커졌다. 3.3%를 예상했던 시장 예상치를 아주 살짝 밑돌았다. 그리고 근원 CPI도 4.7~4.8%를 예상했다고 하는데 예상치에 맞게 4.7%가 나오면서 전월이 4.8%보다 0.1% 내렸다. ..
-
<2023.8.10.(목) 쫑알> 생산·소비자물가 마이너스 中 '디플레 늪'에 빠졌다한경-은경 2023. 8. 10. 10:12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중국이 디플레이션에 빠졌다, 일본을 따라간다는 말이 계속 나왔는데 정말 중국의 경제가 심상치 않구나 싶다. 그런데 우리는 중국이 제로 코로나가 끝나면 수요가 살아날 것이고, 우리도 득을 볼 것이라는 기대에 가득 차 있었으니... 그도 그럴 것이 미국이 고강도 긴축정책을 계속 시행하고 있을 때 중국은 인민은행이 통화완화 정책을 지속하고 있는 데다가 작년 말에 제로 코로나 정책을 끝냈었다. 그동안 억눌린 수요가 분출하면서 중국 경제가 강한 성장을 보일 것이라고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예상을 했다. 중국처럼 제로 코로나 정책을 편 것도 아니었으나 서방에서도 앤데믹과 함께 보복소비가 일어났었고, 우리 또한 그러했으니 중국도 그럴 것이라 짐작한 것이다. 하지만 제로 코로나 정책을 너무 길..
-
<2023.8.9.(수) 쫑알> 美 다음 뇌관은 아파트 … 1조弗 대출 만기 도래한경-은경 2023. 8. 9. 09:27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상업용 부동산은 대부분이 변동 금리라고 들었고, 주택용은 금융위기 이후로 대부분 장기 고정 금리로 바꿨기에 금리가 인상이 되어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했다. 미국에서 주택 소유자들이 이사를 가려면 고금리로 대출을 받아야 하기에 기존 주택을 팔지 않고 있다고 했고, 수요는 늘어나는데 공급이 부족해서 주택 가격이 오른다고도 했다. 미국의 중산층은 주택에 살려고 하기에 우리나라의 중산층이 더 좋은 아파트에 살려고 하는 것을 신기해한다고도 했다. 오늘 신문에서는 우리가 그렇게 좋아하는 아파트가 미국에서 다음 뇌관이라고 한다. 상업용 부동산이 위험하다고 했는데 상업용 부동산의 경우도 특정 지역에서 공실이 크다고 했던 것 같기도 하고... 어찌 됐든 미국에서 아파트 투자는 황금알을..
-
<2023.8.8.(화) 쫑알> 푸틴 때문에 …유럽기업, 1000억유로 날렸다한경-은경 2023. 8. 8. 09:02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흑해곡물협정도 파기되었고, 우크라이나도 러시아도 서로 수출항을 공격을 하는 등 보복 공격도 이어지고 있다.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전쟁이 얼마동안 이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언제쯤 끝이 날지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이제는 장기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오늘 신문에도 우크라이나가 크림반도와 이어지는 다리를 끊어 러시아 보급로를 차단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그럼 또 이에 대한 러시아의 보복 공격이 있겠지. 그럼 또 우크라이나도 할 것이고... 계속 이어지고 있는 전쟁으로 당사국의 피해는 말도 못 할 것이고 곡물과 에너지 등으로 인해 다른 피해국들도 많지만 오늘은 일단 유럽의 기업들에 대한 기사 내용이다. 우리도 그러했지만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에서 사업을 중단하거나 축소, 매각하면서 ..
-
<2023.8.7.(월) 쫑알> 첫 스텝부터 꼬인 日銀 … 돈줄 조였는데 엔저 안멈춘다한경-은경 2023. 8. 7. 10:22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보통 통화 긴축 정책을 펼치기 되면 그 나라의 통화 가치를 올라가게 된다. 보통은... 엔·달러 환율이 어째 이상하다. 7월 28일에 일본은행은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고 단기금리는 연 -0.1%, 장기금리는 연 0%±0.5%로 유지한다고는 했다. 유지는 하는데... 장·단기금리조작(YCC) 정책을 보다 유연하게 운영한다고 했다. 유연하게 운영한다는 게 무슨 뜻이냐 봤더니 장기금리 변동폭을 0.5%까지 유지를 하기는 하는데 살짝 오버가 되어도 용인하겠다는 뜻이다. 예전에는 0.5%로 근접하게 되면 중앙은행이 나섰다고 하는데 이제는 쫌 더 벗어나도 지켜보겠다는 그런 뜻 아닌가. 그래서 사실상 장기금리를 연 0.5%에서 연 1.0%로 상향 조정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했다. 참고로 지난..
-
<2023.8.5.(토) 쫑알> 유럽 경제 침체 경고등 켜졌다한경-은경 2023. 8. 5. 10:06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이번에는 유럽이 경기 침체를 벗어날 수 없나 보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후 유럽의 에너지와 식량 수급에 문제가 생겨 유럽의 경제가 힘들 것이라고 했다. 지난번에는 유럽이 대처를 잘 한 부분도 있고, 겨울 날씨도 생각만큼 춥지 않아 유럽이 큰 어려움 없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유럽이 경기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고 한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 국가의 화폐 가치는 떨어지기 마련인데 유로화 가치 또한 하락하고 있다고 하고, 주가도 최근 들어 상승세가 꺾였다고 한다. 또한 큰손들이 미국의 국채를 팔고 유럽의 국채를 사들이고 있다고 한다. 미국 국채를 파는 이유는 따로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어찌 됐든 유럽의 경제 대국이었던 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