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024.10.18.(금) 쫑알> ECB, 2연속 금리인하 0.25%P 내려 年 3.25%한경-은경 2024. 10. 18. 06:50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ECB가 기준금리, 예금금리, 한계대출금리 등의 정책금리를 각각 0.25% P 인하했다고 한다.참고로 ECB는 세 가지 정책 금리 가운데 예금금리를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짠다고 한다.뭐... 그래도 기준금리 먼저 보자. ECB는 작년 9월부터 연 4.5%의 기준금리를 유지하다가 올해 6월부터 기준금리 인하에 들어갔다.6월에 0.25% P 인하하여 연 4.25%를 유지하다가 9월에 0.6% P 인하하여 연 3.65%를 유지했는데 한 달 만에 0.25% P 인하하여 연 3.4%까지 낮췄다.올해만 벌써 1.1% P 인하를 한 셈이다.남은 12월 회의에서도 추가적으로 인하에 나설지는 지켜봐야 하겠지만 지금으로 봐서는 인하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ECB의 초점이 물가 안정에서 ..
-
<2024.10.17.(목) 쫑알> 성장 정체 비상인데 … 유럽 줄줄이 증세한경-은경 2024. 10. 17. 06:53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유럽 각국이 기업 법인세 인상 카드를 꺼내 들고 있다고 한다.프랑스 정부 부채가 2023년에 GDP 대비 110.6%라고 한다.2020년 114.9%에서 2022년 111.9%로 계속 줄기는 하지만 여전히 100%가 넘어서고 있다.2분기에 GDP의 110%가 넘는 3조 2300억 유로의 부채로 이자로만 500억 유로 이상이 들어간다고 한다.내년에도 올해보다 150억 유로 늘어난 3000억 유로 규모 국채를 발행해야 한다는데 이게 전부 빚 아니겠나.추가로 정부 예산은 GDP 대비로 계속해서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더라.상황이 이러하니 마크롱 대통령도 취임 당시에는 법인세율 25%까지 낮춰 경제 성장을 약속했으나 재정적자 규모가 너무 커지니 약속을 지킬 수가 없게 됐다.국제신용평가사..
-
<2024.10.16.(수) 쫑알> 네타냐후 "이란 핵·원유 아닌 군사시설 타격"한경-은경 2024. 10. 16. 06:47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정말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싶다.이란이 지난 1일에 이스라엘 영토에 탄도미사일 200여 발을 발사하면서 이스라엘이 재보복을 하겠다고 했다.그러면서 이란의 석유 시설, 핵 시설, 군사 시설 등을 공격할 수도 있다는 말이 나오면서 국제 유가가 오르기도 했다.10.9. 자 신문에서도 중동 정세 악화에 따라 브렌트유 선물이 배럴당 80달러를 넘겼고, 국제유가가 물가를 자극할 것이라는 전망에 다음 달 Fed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미국 고용시장 활황에 국제 유가 상승까지 겹치면서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이 연 4%를 넘어서기도 했다.이날 WTI와 브렌트유를 검색해 봤었다.WTI는 배럴당 70.75달러를 살짝 넘어섰고, 브렌트유는 배럴당 74.52달러를 살..
-
<2024.10.15.(화) 쫑알> 美, 이스라엘에 사드 배치한경-은경 2024. 10. 15. 06:40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2006년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 33일 전쟁이 있었고, 양측의 충돌을 막기 위해 국경 완충지대에 유엔평화유지군(UNIFIL) 병력을 주둔시켰다고 한다.근데 이번에 이스라엘군이 레바논 남부에 있는 UNIFIL 부대 정문을 부수고 강제 진압했다고 한다.이건... 좀 많이 심하지 않나?국제사회에서는 이러한 이스라엘에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고 한다.UNIFIL을 향한 최근 일련의 공격을 강하게 규탄하며 적절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UNIFIL의 공동성명에 우리나라를 포함한 40여 개국이 서명했다고 한다.중국도 서명했다고 하는데...라이칭더 총통의 양국론에 대한 경고라며 대만 포위 훈련을 한 중국인데... 뭐... 그렇단다.어찌 됐든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도 네타냐후 총리에게 전화해서..
-
<2024.10.14.(월) 쫑알> 성장률 비상 中 … 최대 10조위안 국채발행 시동한경-은경 2024. 10. 14. 06:38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중국의 1분기 성장률은 5.3%, 2분기 성장률은 4.7%였다.18일이 되면 3분기 성장률이 발표될 텐데 일단 예상치는 4.6%더라.4% 후반의 성장률을 보인다고 하더라도 5% 안팎이라는 올해의 경제성장률 목표치 달성은 하겠지만... 그래도 앞자리 숫자가 '4'인 것과 '5'인 것의 차이가 있으니...3분기 성장률이 낮게 나오면 4분기에 그만큼의 성장률을 더 올려야 하지 않을까 싶다.그래서 이런저런 부양책이 나오는 것 같다.어찌 됐든 경제성장률 5% 안팎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경기 부양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는 중국 정부가 이번에는 정부 부채를 대폭 늘리고 특별 국채를 발행하겠다고 한다.일단 구체적인 발행 규모와 세부적인 정책 내용은 아직 발표하지 않았으나 저소득층 보조금 지..
-
<2024.10.12.(토) 쫑알> 트럼프 "멕시코산 車 1000% 관세" 폭탄 발언카테고리 없음 2024. 10. 12. 09:55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미국 대선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대선 승부를 결정지을 7개 경합주에서 해리스 부통령을 앞서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오차범위 내에서라고는 하지만 어찌 됐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우위를 점한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그러면서 오바마 전 대통령이 해리스 부통령을 지원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대에서 유세에 나서기도 했다는데... 정말 미 대선 결과가 어찌 될지 궁금하다.이제 본론으로 돌아가자!10.10. 자 신문에서 중국이 멕시코 포드 공장 인수에 나서면서 USMCA가 중국의 우회 수출 수단으로 전락됐다는 기사가 있었다.USMCA가 2026년에 개정을 앞두고 있다고 했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든 해리스 부통령이든 누가 당선이 되든 U..
-
<2024.10.11.(금) 쫑알> 올해도 역성장 직면한 獨, 임금협상도 폭풍전야한경-은경 2024. 10. 11. 06:47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제조업 강국이었던 독일의 경제가 계속해서 좋지 않은가 보다.한때 제조업 강국이었던 이유도 러시아에서 저렴하게 에너지를 구입할 수 있었고, 중국이라는 큰 시장에 물건을 팔 수 있었기 때문이다.그렇게 벌어들인 수익으로 미래 산업 개발에 투자하기보다는 EU 내에서의 지원(?)... 표현이 이상하기는 하다.어찌 됐든 연합으로 묶이면서 득을 본 나라가 있고, 실을 본 나라도 있기 마련인데 대표적으로 이익을 본 나라 중 하나가 독일이었다.그랬던 독일이 코로나 팬데믹 이후로는 영 힘을 못 쓰고 있다.독일 GDP는 2023년도에도 전년 대비 -0.3%를 기록하며 당시 유로존과 G7 국가 중에 가장 낮았다고 한다.그러면서 유럽의 강자였던 독일이 유럽의 병자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었다.그렇다고 ..
-
<2024.10.10.(목) 쫑알> 멕시코 포드 공장 인수 나선 中 … '우회 수출 수단'된 무관세협정한경-은경 2024. 10. 10. 06:49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미국, 멕시코, 캐나다가 체결한 무관세협정(USMCA)에 대해 살펴보자.검색해 보니 미국, 멕시코, 캐나다 간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처음에는 미국과 캐나다가 맺었다가 나중에 멕시코까지 포함했다고 한다.이 3국이 FTA를 추진한 것은 유럽연합이 출범하면서 이에 대한 대응으로 단일 경제권 블록을 형성해야 한다는 요구가 반영된 것이라고 하더라.당연 자국 내에서 반대하는 이들도 있었을 것이다.우리도 미국과 FTA 맺을 때 모두가 찬성한 것은 아니지 않았나.이렇게 반대에도 불구하고 NAFTA 성립 후에 경제적 의존과 역내 교역은 급증했다고 하는데...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에 재협상에 돌입하면서 탄생한 것이 지금의 USMCA라고 한다.개정하면서 중국과의 FTA를 금지한다는 조항이 ..
-
<2024.10.9.(수) 쫑알> 유가·국채금리 급등 … 고개 드는 美 '금리 동결론'한경-은경 2024. 10. 9. 09:25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변화가 너무 빠르다.이번에 고용보고서가 잘 나오면서 미국 경기에 대해 연착륙이 아니라 노랜딩을 얘기하기도 하더라.정말 지표 하나하나에 하루는 이랬다가 또 하루는 저랬다가 하는 느낌이다.어찌 보면 그만큼 불안한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여하튼 Fed는 고용과 물가 중 한동안은 고용에 신경을 썼다.Fed의 목표치인 2%에 도달하지 못했지만 7월 2.9%, 8월 2.5%의 물가상승률을 보이면서 어느 정도 잡혀가고 있는 모습이었다.10일에 발표될 9월 물가상승률은 2.3%를 예상하고 있기도 하더라.그리고 또 최근 발표되는 지표들에서 노동시장이 여전히 탄탄하다는 것도 확인했다.근데 문제는 중동 정세 불안... 아니 악화이다!신문에서도 매일같이 이스라엘과 하마스... 아니..
-
<2024.10.8.(화) 쫑알> 바주카포급 부양책에도 … 中 '국경절 특수' 실종한경-은경 2024. 10. 8. 06:55
▶▶ 오늘의 신문 기사 제목 이례적으로 중국이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쏟아낸 뒤부터 중국 증시는 날아오르고 있다.상승률이 거의 수직이다!정말 이게 말이나 되나 싶을 정도 급상승했다.근데 지금처럼 계속 활황을 이어갈지는 의문이기는 하다.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 연휴(10월 1~7일) 전에 바주카포급 정책을 발표한 중국 정부이다.이로 인해 증시는 날아오르고, 이번에는 다르다는 평들도 많이 나오기는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시점에서 계속해서 이 같은 분위기를 이어갈지는 의문이라고 한다.그리고 증시를 살리기 위함도 있었겠지만 바주카포급 정책을 발표한 데는 소비 진작의 목적이 크지 않았겠나.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수가 살아날 조짐을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국경절 연휴에 관광객은 넘쳐났다고 하나 실제 소..